본문 바로가기

작물의기원지2

주요 작물의 기원지 살펴보기 작물의 기원지는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및 중동, 지중해 연안, 중앙아프리카, 멕시코, 남아메리카의 8개 지역으로 구분하고는 한다. 중국지역: 보리, 조, 피, 메밀, 콩, 팥, 파, 인삼, 배추, 자운영, 배, 감, 복숭아 등 인도, 동남아시아: 벼, 참깨, 사탕수수, 모시풀, 왕골, 오이, 박, 가지, 생강 등 중앙아시아: 귀리, 기장, 완두, 삼, 당근, 양파, 무화과 등 코카서스 및 중동: 보리, 밀, 호밀, 유채, 아마, 마늘, 시금치, 사과, 서양배, 포도 등 지중해 연안: 완두, 유채, 사탕무, 양귀비, 화이트 클로버, 오키드그래스, 무, 순무, 우엉, 양배추, 상추 등 중앙아프리카: 조, 수수, 강나루, 수박, 참외 등 멕시코: 옥수수, 강낭콩, 고구마, 해바라기,.. 2023. 2. 9.
작물 재배의 발달과정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알 수 있다. 원시 농경은 토지를 바꿔가며 경작하는 이동 경작 형태를 띠었다. 농경보다 먼저 시작된 가축을 기르는 일도 장소를 유랑하며 풀을 뜯게 하는 등 유목의 형태로 유지하였다. 현재도 몽골, 중앙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부의 초원 지대에서는 유목하고 있다. 새로 땅을 일구어 농사를 시작할 때는 잠복에 불을 지펴 놓아 땅 위를 태워버린 후에 경작을 시작하였다. 이를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지만 화전이라고 한다. 몇 년간 경작을 이어 짓다 보면 지력이 쇠하여 떨어지며 잡초가 번성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럴 때는 다른 곳으로 땅을 바꾸어 경작하였다. 이동 경작은 대전법이라고도 한다. 지속적인 경작과 이동을 반복하면서 또한 정착 생활이 발달하게 되면서 .. 2023. 2. 9.